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는 1948년 5월 10일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의 경기도 지역 선거 결과를 다룬다. 경기도는 29개의 선거구로 나뉘어 국회의원을 선출했으며, 각 선거구의 상세 정보와 당선자, 정당별 득표율, 주요 후보들의 득표 현황을 제공한다. 주요 정당으로는 대한독립촉성국민회, 한국민주당, 대동청년단 등이 있으며, 많은 무소속 후보들이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wikitext
2. 경기도 지역 선거구
선거구 선거구역 인천부 갑 (제1선거구) 인천부 중앙동, 관동, 송학동, 해안동, 항동, 사동, 답동, 신흥동1가, 신흥동2가, 신흥동3가, 신생동, 신포동, 선화동, 유동, 도원동, 율목동, 선린동, 북성동, 송월동, 인현동, 전동, 내동, 경동, 용동, 숭의동, 용현동, 학익동, 옥련동, 주안지청관내, 남동지청관내, 문학지청관내 인천부 을 (제2선거구) 인천부 만석동, 화목동, 화평동, 창영동, 금곡동, 송림동, 송현동, 부평지청관내, 서곶지청관내 개성부 (제3선거구) 개성부 일원 고양군 갑 (제4선거구) 고양군 은평면, 숭인면 고양군 을 (제5선거구) 고양군 신도면, 원당면, 지도면, 중면, 송포면, 벽제면, 독도면 광주군 (제6선거구) 광주군 일원 양주군 갑 (제7선거구) 양주군 의정부읍, 주내면, 회천면, 이담면, 은현면, 광적면, 백석면, 장흥면, 별내면, 남면 양주군 을 (제8선거구) 양주군 화도면, 와부면, 미금면, 구리면, 노해면, 진건면, 진접면 포천군 (제9선거구) 포천군 일원 시흥군 (제10선거구) 시흥군 일원 부천군 (제11선거구) 부천군 일원 김포군 (제12선거구) 김포군 일원 강화군 (제13선거구) 강화군 일원 파주군 (제14선거구) 파주군 일원 장단군 (제15선거구) 장단군 일원 개풍군 (제16선거구) 개풍군 일원 연백군 갑 (제17선거구) 연백군 연안읍, 송봉면, 해룡면, 용도면, 괘궁면, 추화면, 청룡면, 일신면, 내성면, 봉서면 연백군 을 (제18선거구) 연백군 은천면, 유곡면, 해월면, 온정면, 도촌면, 석산면, 봉화면, 호동면, 호남면, 해성면 가평군 (제19선거구) 가평군 일원 양평군 (제20선거구) 양평군 일원 여주군 (제21선거구) 여주군 일원 이천군 (제22선거구) 이천군 일원 용인군 (제23선거구) 용인군 일원 안성군 (제24선거구) 안성군 일원 평택군 (제25선거구) 평택군 일원 수원군 갑 (제26선거구) 수원군 수원읍, 일왕면, 반월면, 매송면, 봉담면, 비봉면, 음덕면, 마도면 수원군 을 (제27선거구) 수원군 송산면, 서신면, 팔탄면, 장안면, 우정면, 향남면, 양곡면, 정남면, 오산면, 동탄면, 대장면, 안룡면 옹진군 갑 (제28선거구) 옹진군 옹진읍, 북면, 서면, 용천면, 백령면 옹진군 을 (제29선거구) 옹진군 흥미면, 부미면, 용연면, 봉면, 송림면, 해남면, 동강면, 동남면
2. 1. 인천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인천부 갑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곽상훈 후보가 26,907표(56.80%)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외, 무소속 윤병덕 후보는 5,397표(11.39%), 무소속 함효영 후보는 4,986표(10.52%), 무소속 양제박 후보는 4,071표(8.59%), 무소속 김영주 후보는 3,067표(6.47%), 무소속 윤무용 후보는 1,696표(3.58%), 대한독립촉성애국부인회 이순선 후보는 1,240표(2.61%)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47,364표였다.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인천부 을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조봉암 후보가 17,620표(37.77%)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석기 후보는 15,827표(33.92%), 무소속 임홍재 후보는 8,806표(18.87%), 무소속 하상훈 후보는 4,394표(9.41%)를 득표하였고, 조선민족청년단 이성민 후보는 득표를 하지 못했다.
2. 2. 개성부
개성부에서는 무소속 이성득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이성득 | 무소속 | 14,328 | 40.00% |
김성찬 | 무소속 | 10,188 | 28.44% |
이종근 | 무소속 | 9,841 | 27.47% |
김낙영 | 단민당 | 1,461 | 4.07% |
합계 | 35,818 |
2. 3. 고양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는 고양군 갑과 고양군 을, 두 선거구에서 실시되었다. 고양군 갑에서는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소속 서성달 후보가 32.0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고, 23.45%를 얻은 무소속 선우기성 후보가 그 뒤를 이었다. 그 외 곽명덕, 김호철, 유만금, 이종삼, 김창수, 심현, 이종창 후보가 출마했으나 모두 낙선했다.고양군 을에서는 무소속 최국현 후보가 26.6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고, 무소속 이성주 후보가 22.81%로 2위를 기록했다. 이삼득, 유홍종, 성낙진, 원창식, 오인환, 조태후 후보는 모두 낙선했다.
2. 4. 광주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광주군에서는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신익희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2. 5. 양주군
wikitext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당시 양주군은 갑과 을, 두 개의 선거구로 나뉘어 있었다. 양주군 갑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덕열 후보가 38.12%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정동호 후보는 32.52%로 2위를 기록하였다. 그 외 무소속 신공숙(14.01%), 무소속 유남수(8.45%), 무소속 김형태(5.16%), 무소속 최영태(1.71%) 후보가 출마하였다.
양주군 을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이진수 후보가 26.2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산 후보는 21.88%로 2위를 기록하였다. 그 외 무소속 남관연(20.61%), 무소속 안홍근(13.56%), 조선민족청년단 구중서(6.84%), 무소속 신형식(6.31%), 무소속 곽행서(4.54%) 후보가 출마하였다.
2. 6. 포천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포천군 선거구에서는 한국민주당 서정희 후보가 8,270표(득표율 31.70%)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이해진 후보는 7,364표(28.22%)를 얻어 그 뒤를 이었다. 조선법학회의 이희종 후보는 5,938표(22.76%), 무소속 윤주순 후보는 2,141표(8.20%)를 얻었다. 그 외 무소속 문진교 후보 1,051표(4.02%), 무소속 이동백 후보 713표(2.73%), 대한독립촉성애국부인회 이기정 후보는 610표(2.33%)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26,087표였다.2. 7. 시흥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시흥군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이재형 후보가 39.3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이영섭 후보는 30.81%, 유지연 후보는 18.21%, 한국민주당 장배근 후보는 11.60%를 득표했다. 총 투표수는 34,362표였다.2. 8. 부천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부천군 선거구에서는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소속 이유선 후보가 44.7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전종남 후보는 28.47%를 득표했고, 한국민주당 김순호 후보는 9.81%를 득표했다. 그 외 무소속 남경우 후보는 8.98%, 무소속 임윤배 후보는 4.60%, 무소속 홍성철 후보는 3.32%를 득표했으며, 무소속 김현호 후보는 득표를 하지 못했다.2. 9. 김포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김포군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정준 후보가 13,002표(42.27%)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이장화 후보는 8,874표(28.85%), 조선민족청년단 정장해 후보는 4,779표(15.53%), 무소속 임성구 후보는 3,215표(10.45%), 무소속 오봉환 후보는 885표(2.87%)를 얻었다. 총 30,755표가 투표되었다.2. 10. 강화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강화군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윤재근 후보가 15,761표(득표율 38.20%)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박장순 후보는 7,114표(17.24%), 무소속 송은경 후보는 4,791표(11.61%), 무소속 유병규 후보는 4,247표(10.29%), 무소속 장석영 후보는 2,745표(6.65%), 무소속 김훈태 후보는 2,568표(6.22%), 무소속 심상태 후보는 1,761표(4.26%), 무소속 이종면 후보는 1,748표(4.23%), 무소속 이정희 후보는 521표(1.26%)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41,256표였다.2. 11. 파주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파주군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웅권 후보가 40.67%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무소속 원용득 후보는 25.84%를 득표했고, 무소속 김동규 후보는 15.74%, 무소속 우종봉 후보는 11.95%, 무소속 노규창 후보는 5.78%를 득표했다. 총 투표수는 37,020표였다.2. 12. 장단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조중현 | 무소속 | 2,792 | 16.68 |
윤만중 | 무소속 | 2,253 | 13.46 |
변종식 | 무소속 | 2,185 | 13.05 |
김치권 | 무소속 | 2,124 | 12.69 |
김연학 | 무소속 | 1,440 | 8.60 |
한장예 | 무소속 | 1,404 | 8.39 |
안병세 | 무소속 | 1,391 | 8.31 |
이경구 | 무소속 | 1,104 | 6.59 |
황준 | 무소속 | 610 | 3.64 |
이진영 | 무소속 | 578 | 3.45 |
전면규 | 무소속 | 536 | 3.20 |
조현종 | 무소속 | 315 | 1.88 |
남상필 | 무소속 | 0 | 0 |
2. 13. 개풍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개풍군 선거구에서는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소속 신광균 후보가 45.48%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무소속 장세의 후보는 24.35%, 무소속 유래환 후보는 17.03%, 무소속 김두권 후보는 13.12%를 득표하였다. 총 투표수는 33,208표였다.2. 14. 연백군
연백군 갑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경배 후보가 34,818표(68.13%)를 얻어 한국민주당 함상훈 후보(16,286표, 31.86%)를 제치고 당선되었다.연백군 을 선거구에서는 한국민주당 신현모 후보가 17,111표(36.57%)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태희 후보는 7,751표(16.56%), 무소속 박창빈 후보는 6,651표(14.21%), 무소속 안창섭 후보는 6,204표(13.25%), 무소속 방치현 후보는 4,608표(9.84%), 무소속 차연홍 후보는 3,419표(7.30%), 무소속 최재석 후보는 1,044표(2.23%)를 얻었다.
2. 15. 가평군
가평군에서는 무소속 홍익표가 무투표 당선되었다.2. 16. 양평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양평군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류래완 후보가 6,658표(20.39%)를 얻어 당선되었다. 양남환 후보는 4,842표(14.82%), 이장섭 후보는 3,943표(12.07%), 구필회 후보는 3,550표(10.87%), 방종천 후보는 3,027표(9.27%), 이준용 후보는 2,741표(8.39%), 이경 후보는 2,676표(8.19%), 장세환 후보는 2,171표(6.64%), 이중세 후보는 1,930표(5.91%), 정행진 후보는 1,114표(3.41%)를 얻었다. 총 32,652표가 투표되었다.2. 17. 여주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여주군 선거구에서는 대동청년단 원용한 후보가 66.65%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무소속 조용택 후보는 33.34%를 득표하였고, 대한독립청년단 구종일 후보는 득표를 기록하지 못했다.2. 18. 이천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이천군 선거구에서는 대한독립촉성국민회의 송창식 후보가 32.4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그 뒤로 무소속 박준호 후보가 17.79%, 무소속 박성훈 후보가 15.81%를 기록했다. 무소속 여동수 후보는 14.93%, 기독교청년회의 장기인 후보는 10.64%, 무소속 권영식 후보는 8.34%를 득표하였다. 총 유효표는 31,985표였다.2. 19. 용인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기도 용인군 선거구는 대한독립촉성국민회의 민경식 후보가 60.5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류기수 후보는 34.66%를 득표하였고, 무소속 박영조 후보는 4.83%를 득표하였다.2. 20. 안성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안성군 선거구에서는 대한독립촉성국민회 김영기 후보가 59.12% 득표율을 기록하며 당선되었다. 김영기 후보는 23,467표를 얻었으며, 무소속 김노묵 후보는 8,994표(22.66%), 무소속 이인섭 후보는 6,583표(16.58%), 무소속 박주병 후보는 645표(1.62%)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39,689표였다.2. 21. 평택군
wikitable{| class="wikitable"
|-
!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평택군 결과
|-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최석화 | 무소속 | 10,979 | 29.56 |
최오찬 | 무소속 | 10,192 | 27.44 |
황경수 | 무소속 | 8,053 | 21.68 |
이민홍 | 무소속 | 5,450 | 14.67 |
김준석 | 무소속 | 2,465 | 6.63 |
합계 | 37,139 |
|}
2. 22. 수원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당시 경기도 수원군은 갑과 을, 두 개의 선거구로 나뉘어 있었다. 수원군 갑 선거구에서는 대동청년단의 홍길선 후보가 51.9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권태동 후보는 29.39%, 무소속 김구배 후보는 10.41%, 대한독립촉성애국부인회 김숙현 후보는 8.23%를 득표했다. 수원군 갑 선거구의 총 투표수는 43,346표였다.수원군 을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웅진 후보가 42.0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홍수환 후보는 35.65%, 무소속 구자혁 후보는 22.32%를 득표했다. 수원군 을 선거구의 총 투표수는 42,482표였다.
2. 23. 옹진군
옹진군에서는 2개의 선거구에서 국회의원을 선출했다. 옹진군 갑 선거구에서는 한국독립당 오택관 후보가 27.2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으며, 옹진군 을 선거구에서는 대동청년단 김인식 후보가 33.42%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3. 주요 정당 및 후보
3. 1. 정당
3. 2. 무소속
4. 경기도 지역 선거 결과
선거구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
인천부 갑 (제1선거구) | style="background-color:"| | 무소속 | 곽상훈 | 26,907 | 56.80% |
인천부 을 (제2선거구) | style="background-color:"| | 무소속 | 조봉암 | 17,620 | 37.77% |
개성부 (제3선거구) | style="background-color:"| | 무소속 | 이성득 | 14,328 | 40.00% |
고양군 갑 (제4선거구) | style="background-color:"|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서성달 | 8,726 | 32.03% |
고양군 을 (제5선거구) | style="background-color:"| | 무소속 | 최국현 | 9,022 | 26.68% |
광주군 (제6선거구) | style="background-color:"|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신익희 | 무투표 당선 | |
양주군 갑 (제7선거구) | style="background-color:"| | 무소속 | 김덕열 | 11,215 | 38.12% |
양주군 을 (제8선거구) | style="background-color:"| | 무소속 | 이진수 | 7,800 | 26.23% |
포천군 (제9선거구) | style="background-color:"| | 한국민주당 | 서정희 | 8,270 | 31.70% |
시흥시 (제10선거구) | style="background-color:"| | 무소속 | 이재형 | 13,528 | 39.36% |
부천군 (제11선거구) | style="background-color:"|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이유선 | 14,238 | 44.79% |
김포군 (제12선거구) | style="background-color:"| | 무소속 | 정준 | 13,002 | 42.27% |
강화군 (제13선거구) | style="background-color:"| | 무소속 | 윤재근 | 15,761 | 38.20% |
파주군 (제14선거구) | style="background-color:"| | 무소속 | 김웅권 | 15,059 | 40.67% |
장단군 (제15선거구) | style="background-color:"| | 무소속 | 조중현 | 2,792 | 16.68% |
개풍군 (제16선거구) | style="background-color:"|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신광균 | 15,106 | 45.48% |
연백군 갑 (제17선거구) | style="background-color:"| | 무소속 | 김경배 | 34,818 | 68.13% |
연백군 을 (제18선거구) | style="background-color:"| | 한국민주당 | 신현모 | 17,111 | 36.57% |
가평군 (제19선거구) | style="background-color:"| | 무소속 | 홍익표 | 무투표 당선 | |
양평군 (제20선거구) | style="background-color:"| | 무소속 | 류래완 | 6,658 | 20.39% |
여주군 (제21선거구) | style="background-color:"| | 대동청년단 | 원용한 | 21,967 | 66.65% |
이천군 (제22선거구) | style="background-color:"|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송창식 | 10,383 | 32.46% |
용인군 (제23선거구) | style="background-color:"|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민경식 | 22,468 | 60.51% |
안성군 (제24선거구) | style="background-color:"|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김영기 | 23,467 | 59.12% |
평택군 (제25선거구) | style="background-color:"| | 무소속 | 최석화 | 10,979 | 29.56% |
수원군 갑 (제26선거구) | style="background-color:"| | 대동청년단 | 홍길선 | 22,520 | 51.95% |
수원군 을 (제27선거구) | style="background-color:"| | 무소속 | 김웅진 | 17,848 | 42.01% |
옹진군 갑 (제28선거구) | style="background-color:"| | 한국독립당 | 오택관 | 8,683 | 27.20% |
옹진군 을 (제29선거구) | style="background-color:"| | 대동청년단 | 김인식 | 10,743 | 33.42% |
4. 1. 인천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인천부 갑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곽상훈 후보가 56.8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득표수는 26,907표였다. 그 뒤를 이어 무소속 윤병덕 후보가 11.39%(5,397표), 무소속 함효영 후보가 10.52%(4,986표)를 득표했다. 그 외 무소속 양제박 후보는 8.59%(4,071표), 무소속 김영주 후보는 6.47%(3,067표), 무소속 윤무용 후보는 3.58%(1,696표)를 득표했으며, 대한독립촉성애국부인회 이순선 후보는 2.61%(1,240표)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47,364표였다.인천부 을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조봉암 후보가 37.77%(17,620표)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석기 후보는 33.92%(15,827표), 무소속 임홍재 후보는 18.87%(8,806표)를 득표했다. 그 외 무소속 하상훈 후보는 9.41%(4,394표)를 득표했고, 조선민족청년단 이성민 후보는 0%(0표)를 득표했다.
4. 2. 개성부
개성부에서는 무소속 이성득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이성득 | 무소속 | 14,328 | 40.00% |
김성찬 | 무소속 | 10,188 | 28.44% |
이종근 | 무소속 | 9,841 | 27.47% |
김낙영 | 단민당 | 1,461 | 4.07% |
합계 | 35,818 |
4. 3. 고양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당시 경기도 고양군은 갑과 을, 두 개의 선거구로 나뉘어 있었다. 고양군 갑 선거구에서는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소속 서성달 후보가 32.0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그 뒤를 이어 무소속 선우기성 후보가 23.45%를 득표했다. 곽명덕, 김호철, 유만금, 이종삼, 김창수, 심현, 이종창 후보 등도 출마했으나 모두 10% 미만의 득표율을 기록했다.고양군 을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최국현 후보가 26.6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이성주 후보는 22.81%를 득표하여 그 뒤를 이었다. 이삼득, 유홍종, 성낙진, 원창식, 오인환, 조태후 후보 등도 출마하였으나, 17% 미만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4. 4. 광주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기도 광주군 선거구에서는 대한독립촉성국민회의 신익희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4. 5. 양주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당시 경기도 양주군은 갑과 을, 두 개의 선거구로 나뉘어 있었다.양주군 갑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덕열 후보가 38.12%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정동호 후보는 32.52%로 2위를 기록했고, 그 뒤를 이어 무소속 신공숙(14.01%), 무소속 유남수(8.45%), 무소속 김형태(5.16%), 무소속 최영태(1.71%) 후보 순이었다. 총 투표수는 29,420표였다.
양주군 을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이진수 후보가 26.2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산 후보가 21.88%로 2위, 무소속 남관연 후보가 20.61%로 3위를 기록했다. 이어서 무소속 안홍근(13.56%), 조선민족청년단 구중서(6.84%), 무소속 신형식(6.31%), 무소속 곽행서(4.54%) 후보 순이었다. 총 투표수는 29,730표였다.
4. 6. 포천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포천군 선거구에서는 한국민주당 서정희 후보가 8,270표(31.70%)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이해진 후보는 7,364표(28.22%), 조선법학회 이희종 후보는 5,938표(22.76%), 무소속 윤주순 후보는 2,141표(8.20%), 무소속 문진교 후보는 1,051표(4.02%), 무소속 이동백 후보는 713표(2.73%), 대한독립촉성애국부인회 이기정 후보는 610표(2.33%)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26,087표였다.4. 7. 시흥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시흥군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이재형 후보가 39.3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이영섭 후보는 30.81%, 유지연 후보는 18.21%, 한국민주당 장배근 후보는 11.60%를 득표했다. 총 투표수는 34,362표였다.4. 8. 부천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부천군 선거구에서는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이유선 후보가 14,238표(44.79%)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전종남 후보는 9,052표(28.47%), 한국민주당 김순호 후보는 3,119표(9.81%), 무소속 남경우 후보는 2,857표(8.98%), 무소속 임윤배 후보는 1,464표(4.60%), 무소속 홍성철 후보는 1,058표(3.32%)를 얻었다. 무소속 김현호 후보는 득표가 없었다.4. 9. 김포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김포군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정준 후보가 13,002표(42.27%)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이장화 후보는 8,874표(28.85%), 조선민족청년단 정장해 후보는 4,779표(15.53%), 무소속 임성구 후보는 3,215표(10.45%), 무소속 오봉환 후보는 885표(2.87%)를 얻었다. 총 30,755표가 투표되었다.4. 10. 강화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강화군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윤재근 후보가 15,761표(38.20%)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박장순 후보는 7,114표(17.24%), 무소속 송은경 후보는 4,791표(11.61%), 무소속 유병규 후보는 4,247표(10.29%), 무소속 장석영 후보는 2,745표(6.65%), 무소속 김훈태 후보는 2,568표(6.22%), 무소속 심상태 후보는 1,761표(4.26%), 무소속 이종면 후보는 1,748표(4.23%), 무소속 이정희 후보는 521표(1.26%)를 얻었다. 전체 유효표는 41,256표였다.4. 11. 파주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파주군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웅권 후보가 40.67%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무소속 원용득 후보는 25.84%, 무소속 김동규 후보는 15.74%를 득표했다. 그 뒤로 무소속 우종봉 후보는 11.95%, 무소속 노규창 후보는 5.78%를 득표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웅권 | 무소속 | 15,059 | 40.67 |
원용득 | 무소속 | 9,568 | 25.84 |
김동규 | 무소속 | 5,827 | 15.74 |
우종봉 | 무소속 | 4,425 | 11.95 |
노규창 | 무소속 | 2,141 | 5.78 |
합계 | 37,020 |
4. 12. 장단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조중현 | 무소속 | 2,792 | 16.68 |
윤만중 | 무소속 | 2,253 | 13.46 |
변종식 | 무소속 | 2,185 | 13.05 |
김치권 | 무소속 | 2,124 | 12.69 |
김연학 | 무소속 | 1,440 | 8.60 |
한장예 | 무소속 | 1,404 | 8.39 |
안병세 | 무소속 | 1,391 | 8.31 |
이경구 | 무소속 | 1,104 | 6.59 |
황준 | 무소속 | 610 | 3.64 |
이진영 | 무소속 | 578 | 3.45 |
전면규 | 무소속 | 536 | 3.20 |
조현종 | 무소속 | 315 | 1.88 |
남상필 | 무소속 | 0 | 0 |
4. 13. 개풍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개풍군 선거구에서는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소속 신광균 후보가 45.48%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무소속 장세의 후보는 24.35%, 무소속 유래환 후보는 17.03%, 무소속 김두권 후보는 13.12%를 득표하였다. 총 투표수는 33,208표였다.4. 14. 연백군
연백군 갑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경배 후보가 68.1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한국민주당 함상훈 후보는 31.86%를 득표했다.연백군 을 선거구에서는 한국민주당 신현모 후보가 36.57%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태희 후보는 16.56%, 무소속 박창빈 후보는 14.21%, 무소속 안창섭 후보는 13.25%를 득표하였다. 그 외 무소속 방치현 후보는 9.84%, 무소속 차연홍 후보는 7.30%, 무소속 최재석 후보는 2.23%를 득표했다.
4. 15. 가평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가평군에서는 무소속 홍익표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4. 16. 양평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양평군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류래완 후보가 6,658표(20.39%)를 얻어 당선되었다. 양남환 후보는 4,842표(14.82%), 이장섭 후보는 3,943표(12.07%), 구필회 후보는 3,550표(10.87%), 방종천 후보는 3,027표(9.27%), 이준용 후보는 2,741표(8.39%), 이경 후보는 2,676표(8.19%), 장세환 후보는 2,171표(6.64%), 이중세 후보는 1,930표(5.91%), 정행진 후보는 1,114표(3.41%)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32,652표였다.4. 17. 여주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여주군 선거구에서는 대동청년단 원용한 후보가 66.65%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무소속 조용택 후보는 33.34%를 득표하였고, 대한독립청년단 구종일 후보는 득표를 하지 못했다.4. 18. 이천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이천군 선거구에서는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송창식 후보가 32.4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박준호 후보는 17.79%, 무소속 박성훈 후보는 15.81%를 기록했다. 무소속 여동수 후보는 14.93%, 기독교청년회 장기인 후보는 10.64%, 무소속 권영식 후보는 8.34%를 득표했다. 총 투표수는 31,985표였다.4. 19. 용인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용인군 선거구에서는 대한독립촉성국민회의 민경식 후보가 60.51%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무소속 류기수 후보는 34.66%, 무소속 박영조 후보는 4.83%를 득표하였다.
4. 20. 안성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안성군 선거구에서는 대한독립촉성국민회 김영기 후보가 59.12%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노묵 후보는 22.66%, 무소속 이인섭 후보는 16.58%, 무소속 박주병 후보는 1.62%를 득표했다. 총 유효 투표수는 39,689표였다.4. 21. 평택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평택군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최석화 후보가 29.56%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무소속 최오찬 후보는 27.44%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했다. 그 외에도 무소속 황경수 후보는 21.68%, 무소속 이민홍 후보는 14.67%, 무소속 김준석 후보는 6.63%를 득표했다. 총 37,139표가 투표되었다.4. 22. 수원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당시 경기도 수원군은 갑과 을, 두 개의 선거구로 나뉘어 있었다. 수원군 갑 선거구에서는 대동청년단의 홍길선 후보가 51.9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권태동 후보는 29.39%, 무소속 김구배 후보는 10.41%, 대한독립촉성애국부인회 김숙현 후보는 8.23%를 득표했다. 총 투표수는 43,346표였다.수원군 을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웅진 후보가 42.0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홍수환 후보는 35.65%, 무소속 구자혁 후보는 22.32%를 득표했다. 총 투표수는 42,482표였다.
4. 23. 옹진군
옹진군에서는 2개의 선거구에서 국회의원을 선출했다. 옹진군 갑 선거구에서는 한국독립당 오택관 후보가 27.2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으며, 옹진군 을 선거구에서는 대동청년단 김인식 후보가 33.42%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옹진군 갑 선거구의 오택관 후보는 8,683표, 옹진군 을 선거구의 김인식 후보는 10,743표를 득표했다.5. 선거의 의의와 영향
6. 같이 보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